BESbswy
BESbswy
BESbswy
BESbswy
BESbswy
BESbswy
BESbswy
BESbswy
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존 이전 슬라이드
팝업존 다음 슬라이드
1
/
해당 슬라이드는 키보드(TAB)키로 이동 후 키보드(화살표) 운용,작동 가능한 슬라이드 입니다.
팝업존 이전 슬라이드
팝업존 다음 슬라이드
1
/
오늘하루 열지않기
닫기
위원회 소개 · 활동
위원회 소개 · 활동
위원장 인사말
위원회 CI
위원회 구성
위원회 조직도
사회보장위원회
실무위원회
전문위원회
위원회 활동
위원회 회의결과
위원회 활동소식
사무국
오시는 길
주요업무
주요업무
사회보장기본계획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9~2023)
제1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4~2018)
사회보장재정추계
사회보장통계
사회보장제도 신설 · 변경 협의
사회보장제도 평가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사회보장정보
사회보장정보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
사회보장기본법령
사회보장사업
복지서비스 가이드북
자료실
발간물
연구보고서
사회보장통계
사회보장통계
사회보장통계 소개
사회보장통계 지표안내
인포그래픽 통계
신설변경 협의제도
신설변경 협의제도
신설변경 협의제도 안내
신설변경 협의제도 통계
협의제도 접수안건 현황
협의결과 현황
시도별(광역+기초)통계
신설변경 협의제도 결과검색
알림 · 소통
알림 · 소통
공지사항
보도자료
FAQ
포럼
정책용어사전
KR
KR
EN
검색하기
통합
검색
검색하기
사이트맵
KR
KR
EN
닫기
위원회 소개 · 활동
위원장 인사말
위원회 CI
위원회 구성
위원회 조직도
사회보장위원회
실무위원회
전문위원회
위원회 활동
위원회 회의결과
위원회 활동소식
사무국
오시는 길
주요업무
사회보장기본계획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9~2023)
제1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4~2018)
사회보장재정추계
사회보장통계
사회보장제도 신설 · 변경 협의
사회보장제도 평가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사회보장정보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
사회보장기본법령
사회보장사업
복지서비스 가이드북
자료실
발간물
연구보고서
사회보장통계
사회보장통계 소개
사회보장통계 지표안내
인포그래픽 통계
신설변경 협의제도
신설변경 협의제도 안내
신설변경 협의제도 통계
협의제도 접수안건 현황
협의결과 현황
시도별(광역+기초)통계
신설변경 협의제도 결과검색
알림 · 소통
공지사항
보도자료
FAQ
포럼
정책용어사전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
주요업무
메뉴목록 펼치기
위원회 소개 · 활동
주요업무
사회보장정보
사회보장통계
신설변경 협의제도
알림 · 소통
사회보장기본계획
메뉴목록 펼치기
사회보장기본계획
사회보장재정추계
사회보장통계
사회보장제도 신설 · 변경 협의
사회보장제도 평가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
메뉴목록 펼치기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9~2023)
제1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4~2018)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스토리로 공유
네이버블로그로 공유
페이지 인쇄하기
제3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24~2028)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9~2023)
제1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4~2018)
5년후 달라지는 상황
비전 및 추진 전략
2,3차 기본계획 비교
제 2차 기본계획
(’19-’23)
비 전
국민 모두가 함께 잘사는 포용사회
추진원칙 및 전략
1
포용적 사회보장체계 구축
*사각지대 해소 및 보편적 서비스 확대
2
지역사회 중심 통합적 서비스 이용체계 구축
*지역통합돌봄 체계 구축 및 돌봄경제 육성
3
사회보장 제도 간 연계조정 강화
*사업간 연계‧조정을 위한 정책조정 거버넌스 강화
4
포용과 혁신의 상호보완체계 구축
정책지표
4대 정책영역별 성과 목표 제시
(고용, 소득, 건강, 사회서비스 4대 분야, OECD 비교가능 지표)
분야별 5년 후 달라지는 국민생활 제시
과 제 수
90개 핵심과제
제 3차 기본계획
(’24-’28)
비 전
약자부터 촘촘하게, 지속가능한 복지국가
추진원칙 및 전략
1
약자부터 두터운 복지
- 위기직면한 사회적 약자보호
- 새로운 취약계층의 복지수요 발굴지원
- 변화하는 사회적 위험 대응강화
2
전생애 사회서비스 고도화
- 수요맞춤형 사회서비스 실현
- 공급기반 혁신으로 사회서비스 품질제고
- 이용자 중심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3
사회보장체계 혁신
- 지속가능한 사회보험 개혁
- 사회보장제도 통합관리
- 기술기반 서비스 행정체계 도입
정책지표
3대 정책영역별 성과 목표 제시
(약자부터 두터운 복지, 전생애 사회서비스 고도화, 사회보장체계 혁신)
5년 후 성과지표 제시
과 제 수
111개 핵심과제